우리는 지금 5G 시대에 살고 있다!
4월 5일, 세계 최초 5G 상용화가 대한민국에서 전격 시작된다.
이에 맞추어 갤럭시S10 5G 모델이 4월 5일에, LG전자 또한 V50 ThinQ 5G 또한 4월 19일 출시된다.
이동통신3사간의 경쟁 또한 치열하다. 각 통신3사는 5G 기지국을 설치하고, 요금제를 발표하고,
5G 컨텐츠를 활용한 마케팅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5G는 무엇이고, 어떤 특징이 있을까? 함께 알아보도록 하자!
1. 과거 이동통신 특징
* 사진출처: 삼성전자 5G 국제 표준의 이해
이동통신(3G, 4G, 5G)에서 G는 세대(Genertion)을 뜻한다. 과거 1G는 아날로그 통신 방식으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2G는 디지털 방식으로 음성 통화와 문자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3G는 화상 통화와 무선 인터넷이 가능해졌고, 카메라와 MP3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이 통합된 스마트폰이
출현하게 되었으며, 4G는 본격적인 스마트폰 기반 인터넷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그렇다면 5G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2. 5G 특징
5G는 4G LTE와 비교하여 ①초고속 ②초저지연성 ③대량연결 3가지 측면에서 더욱 진화하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각각의 특징이 어떠한 측면에서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칠까?
* 사진출처: 삼성전자 5G 시대의 도래
① 초고속
5G 네트워크는 초광대역 이동통신을 활용해 최대 20G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20Gbps를 이용하여 15GB 영화를 다운받는다면, 약 6초정도면 다운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VR/AR 가상현실 컨텐츠를 보다 더욱 실감나게 감상할 수 있다.
② 초저지연성
과거 4G LTE의 처리 지연속도가 최대 10ms였던 것에 비해 5G 네트워크에서는 1/10수준인 1ms로
줄어들었다. 5G 네트워크의 이러한 특성은 자율주행 자동차, 의료기기 원격제어, 클라우드 게임 등
빠른 피드백과 실시간 네트워크가 필요한 서비스에서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③ 대량연결
5G는 1㎢ 면적 안에서 약 100만개의 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이러한 기능은 IoT 사물인터넷을 대중화 시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5G vs 4G 성능 비교
3. 이통3사 요금제는?
5G 요금제는 마치 담합이라도 한 것 처럼 각 통신사 별로 차이가 크게 나지 않아 보인다.
이동통신3사 모두 55,000원 요금제를 가장 저가 요금제로로 하며, 통신사별 8GB~9GB 데이터를 제공한다. 데이터를 모두 사용하면 1Mbps 속도의 무제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참고로 1Mbps는 1MB 용량의 파일을 다운받는데 약 8초가 걸리는, 3G보다 더 느린 데이터 속도로
카톡 정도를 보내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동영상 컨텐츠 스트리밍은 절대 불가능하다.
(1분 기준으로 1Mbps는 7.5MB를, 3Mbps는 22.5MB를, 5Mbps는 37.5MB를 다운받을 수 있다.)
주요 구간대인 75,000원 요금제에서는 SKT와 LGU+간의 차이는 거의 없으며, 저렴한 화웨이망을 사용했기 때문인지, 95,000원 요금제에서 LGU+가 SKT 대비 50GB를 더 많은 250GB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러나 다소 논란이 있는 화웨이망을 사용했음에도, SKT와 비슷한 가격정책은 약간 실망스럽다.
KT의 경우, SKT와 LGU+보다 요금제별로 5000원씩 더 비싸게 책정되었으나, KT는 80,000원 이상 요금제
부터 속도 제한없는 5G 무제한 요금제를 제공한다. 아마도 KT를 보고 SKT나 LGU+가 요금제를 조절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4. 이통3사 5G 기지국 현황 (3/20기준)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3월 20일 기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사에 따르면, 이동통신3사의 5G 기지국 현황은 다음과 같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에 따르면 SKT의 경우, 5G 기지국 수는 가장 적지만, KT와 LGU+에 비해 상당히 넓은 지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KT는 5G 기지국 수가 가장 많으며 나름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나, SKT 대비 조금 더 서울/경기/수도권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LGU+의 경우, 완벽하게 서울/경기권에 집중되어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현재로서는 수도권 지역에 사는 사람의 경우, KT나 LGU+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나을 것 같으며,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 사는 사람은 갤럭시S10 5G 모델을 LGU+ 가입을 통해 구매하여도
5G를 사용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 LGU+를 통하여 5G 통신을 가입하신 분들이 지방으로 내려갈 경우, 4G LTE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5. 갤럭시S10 5G vs LG V50 5G (5G 스마트폰 비교)
4월 5일 출시되는 세계 최초 5G 스마트폰, 갤럭시S10 5G는 갤럭시S10 일반 모델과 마찬가지로
인피니티O 디스플레이를 탑재하였다. 화면크기는 갤럭시S 시리즈 중 가장 큰 6.7인치이다.
램은 8GB, 저장용량은 256GB/512GB 2가지 모델로 출시되며, 마이크로SD는 지원하지 않는다.
카메라는 후면 4개, 전면 2개를 포함한 6개 카메라를 장착하였으며, 4500mAh의 대용량 배터리와
25W 급속충전을 지원한다.
듀얼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일명 폰더블폰으로 널리 알려진 LG전자 V50 5G의 경우 기존의 노치 디자인을 그대로 계승하였으며, 화면크기는 갤럭시S10 5G모델 보다 다소 작은 6.4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하였다.
램 6GB, 저장용량 128GB 단일모델로 출시되며, 마이크로SD는 최대 2TB까지 지원한다.
LG V50은 갤럭시S10 5G모델보다 약 2주정도 늦게 출시되는 만큼, 공격적인 가격정책을 펼치고 있다.
갤럭시S10 5G 모델 대비하여 20만원 이상 출고가가 낮을 뿐만 아니라, 5월 말까지 V50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듀얼 스크린을 무상으로 증정한다고 한다. 듀얼스크린의 가격은 219,000원이다.
6. 마치면서...
한국의 세계 최초 5G 상용화는 분명히 기념할만한 성과이다. 그러나 현재는 약간의 논란거리도
발생하고 있다.
① 비싼 5G 스마트폰
먼저 기존 스마트폰으로는 5G를 사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5G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을 바꿔야
하는데, 5G 지원 스마트폰의 출고가가 굉장히 비싸졌다.
② 비싸진 5G 요금제
요금제도 있으나 마나한 5만5천원 요금제를 제외하고는, 기본이 7만5천원부터 시작하기에
LTE 요금제보다 대략 1.5만원 이상 비싸졌다.
최근 광고하는 VR 컨텐츠들이 소비자들에게 5G에 대해서 얼마나 어필할 수 있는지도 의문스럽다.
③ 완벽하게 갖춰지지 않은 5G 인프라
또한 통신 인프라도 아직 완벽하게 구축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5일 갤럭시S10 5G 모델을 구매하더라도 전국적으로 5G가 터지지 않는다.
④ 충분히 빠른 LTE 속도
3G에서 LTE로 넘어갈 시기에는 3G 대비 LTE가 속도가 상당히 빨랐으나, 5G로 넘어가기에는 LTE가
충분히 데이터 전송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LTE와 5G의 체감차이가 크지 않을 수도 있다.
스마트폰 제조사와 국내이동신사들이 이러한 논쟁거리를 해결하고, 소비자들이 5G를 선택하도록
설득할 수 있을까?
모바일CM 서경덕 / PAD@danawa.com
가격비교를 넘어 가치비교로, 다나와(www.danawa.com)
'정보(생활·컴퓨터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식한 쇳덩이에서 화려한 옷 입기까지 - 2019년 쿨러 트렌드 (0) | 2019.04.08 |
---|---|
반려견 외출 필수품 1탄! 목줄과 가슴줄 제대로 알고 구매하자 (0) | 2019.04.05 |
국산차 5개 제조업체, 19년 4월 판매조건 발표 (0) | 2019.04.02 |
TV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0) | 2019.04.01 |
USB 메모리로 TV화면에서 동영상 파일 보기 (0) | 2019.04.01 |